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WNBA 선수 및 대학 선수들로 구성되며, 올림픽과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올림픽에서는 1980년 불참을 제외하고 모든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 7연패를 달성했다.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서는 18번 출전하여 11번 우승했으며, FIBA 여자 아메리컵에서는 4번 우승했다. 다이애나 타우라시는 올림픽에서 6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최다 금메달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지노 오리에마가 감독을 맡고 있다.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WNBA 선수 및 학생들로 구성된다.
2. 역사
올림픽과 월드컵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올림픽에서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을 제외하고는 메달을 놓친 적이 없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 올림픽 7연패를 달성했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3·4위 결정전에서 승리한 이후 올림픽 55연승을 달성했다(도쿄 2020 대회 종료 시점).[4]
수 버드와 다이애나 타우라시는 농구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 5개(2004 아테네 대회부터 2020 도쿄 대회까지)를 획득한 선수들이다.[4]
2. 1. 초기 역사 (1953년 ~ 1970년대)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WNBA 선수 및 학생들로 구성된다.
올림픽과 월드컵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올림픽에서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의 불참(보이콧)을 제외하고는 메달을 놓친 적이 없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 단체 종목 최다인 올림픽 7연패를 달성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3·4위 결정전에서 승리한 이후 올림픽 55연승을 달성했다(도쿄 2020 대회 종료 시점).[4]
2. 2. 황금기 (1980년대 ~ 현재)
WNBA 선수 및 학생들로 구성된다.
올림픽과 월드컵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올림픽에서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의 불참(보이콧)을 제외하고는 메달을 놓친 적이 없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 단체 종목 최다인 올림픽 7연패를 달성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3·4위 결정전에서 승리한 이후 올림픽 55연승을 달성했다(도쿄 2020 대회 종료 시점).
수 버드와 다이애나 타우라시는 농구에서 5개의 올림픽 금메달(2004 아테네 대회부터 2020 도쿄 대회까지)을 획득한 최초의 선수이다.[4]
3. 주요 대회 성적
올림픽 기록 연도 결과 경기 승 패 1976년 Silver medal영어 5 3 2 1980년 불참 1984년 Gold medal영어 6 6 0 1988년 Gold medal영어 5 5 0 1992년 Bronze medal영어 5 4 1 1996년 Gold medal영어 8 8 0 2000년 Gold medal영어 8 8 0 2004년 Gold medal영어 8 8 0 2008년 Gold medal영어 8 8 0 2012년 Gold medal영어 8 8 0 2016년 Gold medal영어 8 8 0 2020년 Gold medal영어 6 6 0 2024년 Gold medal영어 6 6 0 합계 12/13 81 78 3
FIBA 여자 농구 월드컵과 FIBA 여자 아메리컵 기록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올림픽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80년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는 모든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 올림픽 7연패를 달성하며 단체 종목 최다 연승 기록을 세웠다.[4]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3·4위전 승리 이후 올림픽 55연승을 기록 중이다(2020 도쿄 올림픽 종료 시점).
수 버드와 다이애나 타우라시는 농구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 5개(2004 아테네 올림픽부터 2020 도쿄 올림픽까지)를 획득한 선수들이다.[4]
대회 | 성적 | 승 | 패 | 비고 |
---|---|---|---|---|
1976 | ![]() | 3 | 2 | |
1980 | 불참 | |||
1984 | ![]() | 6 | 0 | |
1988 | 5 | 0 | 2연패 | |
1992 | ![]() | 4 | 1 | |
1996 | 8 | 0 | ||
2000 | 8 | 0 | 2연패 | |
2004 | 8 | 0 | 3연패 | |
2008 | 8 | 0 | 4연패 | |
2012 | 8 | 0 | 5연패 | |
2016 | 8 | 0 | 6연패 | |
2020 | 6 | 0 | 7연패 | |
3. 2.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53년 첫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이후, 총 18번의 대회에 참가하여 11번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1986년 대회부터 2022년 대회까지 5번의 대회를 연속으로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연도 | 결과 | 경기 | 승 | 패 |
---|---|---|---|---|
1953년 | 우승 | 6 | 5 | 1 |
1957년 | 우승 | 9 | 8 | 1 |
1959년 | 기권 | |||
1964년 | 4위 | 9 | 5 | 4 |
1967년 | 11위 | 6 | 1 | 5 |
1971년 | 8위 | 8 | 6 | 2 |
1975년 | 7위 | 7 | 4 | 3 |
1979년 | 우승 | 6 | 5 | 1 |
1983년 | 준우승 | 8 | 6 | 2 |
1986년 | 우승 | 7 | 7 | 0 |
1990년 | 우승 | 8 | 8 | 0 |
1994년 | 3위 | 8 | 7 | 1 |
1998년 | 우승 | 9 | 9 | 0 |
2002년 | 우승 | 9 | 9 | 0 |
2006년 | 3위 | 9 | 8 | 1 |
2010년 | 우승 | 9 | 9 | 0 |
2014년 | 우승 | 6 | 6 | 0 |
2018년 | 우승 | 8 | 8 | 0 |
2022년 | 우승 | 8 | 8 | 0 |
2026년 | ||||
합계 | 18/20 | 138 | 117 | 21 |
3. 3. FIBA 여자 아메리컵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과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서 우승을 통해 주요 대회에 출전 자격을 얻기 때문에 이 대회에 자주 참가하지 않는다.FIBA 여자 아메리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1989년 | 4위 | 8팀 중 4위 | 7 | 3 | 4 | 590 | 511 | +79 |
1993년 | 금메달 | 8팀 중 1위 | 7 | 6 | 1 | 665 | 499 | +166 |
1995년 | 불참 | |||||||
1997년 | 은메달 | 8팀 중 2위 | 6 | 4 | 2 | 553 | 450 | +103 |
1999년 | 불참 | |||||||
2001년 | ||||||||
2003년 | ||||||||
2005년 | ||||||||
2007년 | 금메달 | 8팀 중 1위 | 5 | 5 | 0 | 490 | 287 | +203 |
2009년 | 불참 | |||||||
2011년 | ||||||||
2013년 | ||||||||
2015년 | ||||||||
2017년 | ||||||||
2019년 | 금메달 | 10팀 중 1위 | 6 | 6 | 0 | 532 | 300 | +232 |
2021년 | 금메달 | 9팀 중 1위 | 6 | 6 | 0 | 533 | 322 | +211 |
2023년 | 은메달 | 8팀 중 2위 | 7 | 5 | 2 | 498 | 402 | +96 |
2025년 | 출전 확정 | |||||||
합계 | 4회 우승 | 18회 중 7회 참가 | 44 | 35 | 9 | 3861 | 2771 | +1090 |
4. 주요 선수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WNBA 선수 및 학생들로 구성된다.
다음은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 명단이다.
번호 |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당시 소속팀 |
---|---|---|---|---|
4 | 린제이 웨일런 | 가드 | 1982년 5월 9일 | 미네소타 링스 |
5 | 애시자 존스 | 포워드 | 1980년 8월 1일 | 코네티컷 선 |
6 | 수 버드 | 가드 | 1980년 10월 16일 | 시애틀 스톰 |
7 | 캔디스 듀프리 | 포워드 | 1984년 8월 16일 | 피닉스 머큐리 |
8 | 엔젤 맥코트리 | 포워드 | 1986년 9월 10일 | 애틀랜타 드림 |
9 | 제인 애플 | 센터 | 1988년 5월 14일 | 샌안토니오 실버스타즈 |
10 | 타미카 캐칭스 | 포워드 | 1979년 7월 21일 | 인디애나 피버 |
11 | 스윈 캐시 | 포워드 | 1979년 9월 22일 | 시애틀 스톰 |
12 | 다이애나 타우라시 | 가드/포워드 | 1982년 6월 11일 | 피닉스 머큐리 |
13 | 실비아 파울스 | 센터 | 1985년 10월 6일 | 시카고 스카이 |
14 | 마야 무어 | 포워드 | 1989년 6월 11일 | 코네티컷 대학교 |
15 | 티나 찰스 | 센터 | 1988년 12월 5일 | 코네티컷 선 |
수 버드와 다이애나 타우라시는 농구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에서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들이다.[4]
4. 1. 역대 주요 선수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WNBA 선수 및 학생들로 구성된다.올림픽과 월드컵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올림픽에서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의 불참(보이콧)을 제외하고는 메달을 놓친 적이 없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 단체 종목 최다인 올림픽 7연패를 달성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3·4위 결정전에서 승리한 이후 올림픽 55연승을 달성했다(도쿄 2020 대회 종료 시점).
수 버드와 다이애나 타우라시는 농구에서 5개의 올림픽 금메달(2004 아테네 대회부터 2020 도쿄 대회까지)을 획득한 최초의 선수이다.[4]
선수 | 미국 국가대표팀 활동 기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 메달 수 (3개 이상) |
---|---|---|---|---|---|
다이애나 타우라시 | 2004년–2024년 | -- -- -- -- -- | 6 | ||
수 버드 | 2004년–2020년 | -- -- -- -- -- | 5 | ||
테레사 에드워즈 | 1984년–2000년 | -- -- -- -- | -- | 5 | |
리사 레슬리 | 1996년–2008년 | -- -- -- -- | 4 | ||
타미카 캐칭스 | 2004년–2016년 | -- -- -- -- | 4 | ||
실비아 파울스 | 2008년–2020년 | -- -- -- -- | 4 | ||
셰릴 스윕스 | 1996년–2004년 | -- -- -- | 3 | ||
돈 스테일리 | 1996년–2004년 | -- -- -- | 3 | ||
케이티 스미스 | 2000년–2008년 | -- -- -- | 3 | ||
세이모니 어거스터스 | 2008년–2016년 | -- -- -- | 3 | ||
티나 찰스 | 2012년–2020년 | -- -- -- | 3 | ||
브리트니 그라이너 | 2016년–2024년 | -- -- -- | 3 | ||
브리아나 스튜어트 | 2016년–2024년 | -- -- -- | 3 | ||
카트리나 맥클레인 | 1988년–1996년 | -- -- | -- | 3 |
이 외에도 주요 선수로는 앤 도노반, 돈 스테일리, 사이먼 오거스터스, 칼라 로슨, 리사 레슬리, 딜리샤 밀턴존스, 캔디스 파커, 캐피 폰덱스터, 케이티 스미스, 티나 톰프슨 등이 있다.
5. 코칭 스태프
- 감독 - 지노 오리에마
참조
[1]
웹사이트
USA Basketball Women's National Team
https://www.usab.com[...]
USA Basketball
[2]
웹사이트
USA Basketball Annual Awards
https://www.usab.com[...]
USA Basketball
[3]
웹사이트
USA Basketball Women's National Team: Tokyo 2020
https://www.usab.com[...]
USA Basketball
2021-08-19
[4]
뉴스
USA women’s basketball capture seventh straight Olympic gold with win over Japan as France claim Bronze
http://www.fiba.bask[...]
FIBA
2021-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